



매화가 피기 시작하는 봄의 제주, 어디로 가야할까?
3월의 제주가 본격적으로 봄을 알리는 꽃들의 향연을 시작하기로 하고 이곳저곳 다수의 장소에 가지각색의 꽃들을 피어내기 시작했다.




그 소식을 조금이나마 먼저 전해보고자 부랴부랴 서둘러 달려간 곳은 안덕면 영어마을 근처에 있는 노리매공원이다.
3월초 현재 수많은 매화꽃들이 피어나 축제를 벌이고 있다고 해서 찾아가봤는데 공원의 입구서부터 팝콘이 터저 올라온듯 보이는 매화들이 노리매공원을 찾는 이들을 반기고 있다.




절정인 매화가 있는 반면에 아직 채 피어오르지 못한 매화와 봉우리가 봉긋봉긋 올라온 목련 등 수많은 나무와 꽃들로 꾸며진 노리매공원은 누가봐도 반할 수 밖에없는 요소들을 곳곳에 갖춘채 방문객들의 시선을 끌고 있었는데 특히나 공원 한가운데 있는 호수를 기준으로한 산책로는 노리매공원의 최대 포인트다.




호수의 한가운데 가보지 못할 정자를 떡하니 만들어두고 있었는데 그 모습을 배경으로한 사진들은 대충 찍어내도 작품이 나올것 같은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놀이'와 '매화'가 합쳐 만들어진 이름인 노리매공원은 말 그대로 매화를 지천에 심어두고 있었는데 그 중 홍매화를 찾아다니며 사진을 찍기에 바빴다.
흰색의 매화꽃이 들으면 서운할지는 모르겠지만 솔직히 사진으로 이쁘게 나오는건 아무래도 홍매화가 좀 더 낫기 때문이다..




매화나무는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그리고 색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는데 겨울철 추운 날씨에 핀다고 ‘동매’, 술이름으로도 잘 알려진 눈 속에 핀 매화라하여 ‘설중매(雪中梅)’라 한단다. 아울러 흰색이면 ‘백매화’, 붉은색이면 ‘홍매화’라고 부른다고 한다는데 매화가 얼마나 이뻤으면 이렇게 여러 이름으로 불렸을지 이해가 간다.




그런데 도대체 저 하귤은 왜 까먹었을까?
먹지도 못할 하귤(나쓰미깡)을 따서 버리면 그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려한 사람들에게 얼마나 손해인지 과연 모르고 행동했을까하는 생각을 하다보니 이 블로그를 통해서라도 그러지 말라고 알려야할것 같아 굳이 사진을 찍어 같이 붙여 두었다.
*하귤은 말 그대로 여름에 먹는 귤이니 3월엔 보는것에 만족하자.




폭포도 있고 녹차밭도 있었으며 기와집까지 만들어져 있었고, 거기에 공작새 등 얼마안되는 동물들이 있었지만 동물농장도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노리매공원의 상징인 매화를 도저히 외면할 수가 없었고, 공원의 호수 한가운데 놓여진 정자를 피하고 지나갈 수가 없었다.




물론 이 사진들만으로 노리매공원을 판단하는 것은 노리매공원을 모욕하는 것일 것이다.
총 20여개의 테마로 만들어진 노리매공원 특성상 차마 다 못찍은 곳도 있으며, 또한 찍어놓고 버린 사진들이 더 많았고 사람들이 있는곳은 그냥 지나쳐간 곳들도 더러 있었기에 이 블로그만으로 모든것을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성인 9,000원이라는 요금으로 구경을 할 수 있는 노리매공원은 도민과 노약자들에 할인을 적용하고 있었는데 도민인 낭만노가리도 30%가 할인이된 금액으로 이용을 해볼수가 있었다.
장애인은 1~3급까지만 추가 혜택이 주어지니 그 이하등급이신분들은 그냥 도민할인으로 받으셔도 무방하다 생각이 든다.
'제주의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벚꽃과 유채가 피어나는 4월의 항몽유적지 (0) | 2022.06.08 |
---|---|
제주 4월의 물결 녹산로 유채꽃과 벚꽃 (0) | 2022.06.02 |
제주를 즐기는 또하나의 방법 미야즈클로젯 (0) | 2022.05.26 |
제주 관광스팟 최고의 핫플레이스 도두해안길 무지개돌담 (0) | 2022.05.25 |
커다란 팽나무가 지키고 있는 제주 귀빈사(이승만별장) (0) | 2022.05.21 |